2006년 편지
못다쓴 편지로제 수사님이 선종한 지난 8월 16일 오후, 그는 한 형제를 불러 “내가 부르는 것을 잘 받아 적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말하려고 애쓰는 동안 아주 긴 침묵이 흘렀고, 마침내 그가 입을 열었습니다. “우리 공동체가 인류 가족 안에서 … 넓히는 가능성을 만들어 내는 만큼… ” 로제 수사님은 너무 기진해서 말을 채 끝내지 못했습니다.
이 말에는 아주 노년에까지 그분을 움직인 열정이 담겨 있습니다. 그분은 무엇을 ‘넓힌다’고 말씀하려고 했을까요? 그분은 아마도 “모든 인간과 모든 민족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을 누구나 다 알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 기울이라”는 말씀을 하려 했을 것입니다. 그분은 우리 작은 공동체가 다른 이들과 더불어 겸손히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는 삶을 통해 이 신비를 드러내기를 바랬습니다. 그래서 우리 형제들은 이 세상 도처에서 평화를 추구하는 모든 이들과 더불어 이 사명과 도전을 받아들이려 합니다. 선종하기 몇 주 전, 로제 수사님은 밀라노에서 열릴 젊은이 모임에서 발표할 공개 편지를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몇 가지 주제에 대해 또 자신이 이미 써 놓은 글을 다시 손질할 계획이었습니다. 우리는 당시의 그 상태로 이 “못다쓴 편지”를 출판합니다. 57개국어로 번역된 이 편지는 로제 수사의 마지막 말씀으로서 하느님께서 ‘우리의 발길 닿는 길을 훤히 넓혀 주시는’ (시편 18,37) 그 도상으로 우리가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06년 한 해 동안 매주 떼제에서 열리는 모임 동안, 또 여러 대륙에서 각자는 어떻게 하면 자신의 삶을 통해 이 편지를 완성할 수 있을지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알로이스 수사 “너희에게 평화를 두고 가며, 내 평화를 너희에게 주노라.” [1] 하느님이 주시는 이 평화는 어떤 것입니까? 성 요한은 자신의 복음서에서 눈부신 통찰력으로 하느님이 누구신지 단 두 마디 말로 표현합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2] 이 두 마디 말만 깨달을 수 있다면 우리는 멀리, 아주 멀리 나아갈 것입니다. 우리는 충분히 알고 있습니까? 하느님은 우리를 정말로 신뢰하시기에 우리 한 사람 한사람을 부르고 계시다는 것을! 이것은 어떤 부르심입니까? 그분은 당신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처럼 우리도 사랑하라고 초대하십니다. 하느님을 위해서, 또 다른 이를 위해서 자기 자신을 내어주는 데까지 나아가는 것보다 더 깊은 사랑은 없습니다. 내가 태어난 작은 산골 마을의 바로 옆집에는 아주 가난한 대가족이 살았습니다. 어머니는 돌아가셨고 자녀들 가운데 나보다 조금 더 어린 아이 하나가 우리 집에 자주 왔고 우리 어머니를 친어머니처럼 좋아했습니다. 어느날 그 아이는 가족이 마을을 떠나기로 했다는 것을 알았는데 그것이 그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대여섯 살 먹은 아이를 어떻게 달랠 수 있을까요? 그 아이는 조금 물러서서 그 이별을 생각할 수가 없었던 것 같았습니다. 위로가 필요할 만큼 우리가 그렇게 연약합니까? 화해와 평화를 추구할 때 자신과의 싸움을 피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결코 쉬운 길이 아닙니다. 오래 지속될 소중한 그 어떤 것도 쉽게 얻어지지 않습니다. 일치와 친교의 정신은 결코 순진한 것이 아니라 드넓은 마음과 그윽한 인자함을 의미하며 어떤 의혹의 소리에도 귀기울이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 공동체가 인류 가족 안에서 … 넓히는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만큼..... [1] 요한 복음 14,27 [2] 요한1서 4,8 [3] 이사야 43,4 [4] 1974년 젊은이들의 공의회 개막식에서 로제 수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랑이 없다면 존재해서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무엇 때문에, 어떤 목적으로 아직 살아간단 말입니까? 우리 삶의 의미는 여기에 있습니다. 곧, 영원에 이르도록 언제나 사랑받고 그래서 우리 또한 사랑 때문에 죽기까지 할 수 있다는 것. 그렇습니다. 사랑 때문에 죽는 이는 행복합니다. ” 사랑 때문에 죽는다는 것은, 로제 수사에게 ‘마지막 순간까지 사랑한다’는 것을 뜻했습니다. [5] ‘화해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 선종하기 보름 전에 출간된 로제 수사의 책 “행복의 예감”에서 그는 이 말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설명했습니다. “내 외할머니께서 교회 일치의 부르심에 대한 일종의 열쇠를 직관적으로 발견하셨고 내가 그것을 구체화하도록 길을 열어 주셨다는 것을 여기서 다시 상기시키고 싶다. 1차 대전 뒤에 그분은 자신이 겪었던 일을그 누구도 다시 겪게 해서는 안되겠다는 열망을 가졌다. 사실 그리스도인들이 유럽에서 서로 무기를 들고 싸웠던 것이기에 새로운 전쟁을 막기 위해서는 적어도 그들만이라도 서로 화해해야 한다고 그분은 믿었다. 그분은 오랜 전통의 개신교 집안 출신이었지만 자신 안에서 화해를 이루기 위해 가톨릭 교회에 나가셨다. 자기쪽 그 누구와도 관계를 단절하지 않으면서 그렇게 하셨다. 그분이 삶으로 보여주신 것에 영향을 받아, 나 역시 그분처럼, 아직 어릴 때부터 그 누구와도 친교를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내가 물려 받은 신앙과 가톨릭 신앙의 신비를 내 안에서 화해하는 가운데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내 정체성을 발견했다. ” [6] 요한 14, 18과 16,7 [7] ‘친교의 그리스도’라는 말은 벌써1986년 10월 5일 떼제를 방문한 교종 요한 바오로 2세를 맞이하면서 로제 수사가 사용했습니다. “우리 공동체의 형제들은 젊은이 한 사람 한 사람이 그리스도를 발견하게 되기를 매일 열망합니다. 고립된 채 혼자서 그리스도를 찾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몸인 교회라는 일치와 친교의 신비 안에 충만히 계신 ‘친교의 그리스도’를 찾게 되기를 말입니다. 그곳에서 수많은 젊은이들은 끝까지 자신의 삶 전체를 바쳐 투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곳에서 그들은 자신들 사이에서뿐 아니라 노인에서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모든 세대와 함께 신뢰와 화해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떼제 공동체에게 ‘친교의 그리스도’를 따르려는 열망은 타오르는 불과 같습니다. 우리는 그 길을 찾기 위해, 묻고 요청하고 필요하다면 호소하기 위해 세상 끝까지라도 나아갈 것입니다. 하지만 결코 교회 밖에서가 아니라 비길데 없는 이 친교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남아서 언제나 그렇게 할 것입니다. ” [8] 이 편지의 마지막 이 네 문단은 2004년 12월말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 열린 유럽 모임의 폐막 기도 때 로제 수사가 한 묵상으로서 그가 공식 석상에서 한 마지막 말입니다. |